신학 다시하기(Doing Theology Anew)
본문
신학 다시하기(Doing Theology Anew)<?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신학하기(Doing Theology)라는 말이 일견 낯설다. 그런데 실은 신학이라는 말을 풀어쓴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신학(theos + logos)이 1) 신의 생각/이야기/학문 혹은 2) 신에 관한 생각/이야기학문 이라고 볼 때, 문제는 과연 인간이 신에 대해서 얼마나 알 수 있고 말할 수 있는가이다. 그래서 등장하는 말이 신학은 (궁극적으로) 인간학이라는 이해이다(Ludwig Feuerbach). 초점과 사고의 전환이다. 하느님 이야기에서 우리들 이야기로.
신학하기, 무엇이 문제인가?
그 동안에는 신학을 공부한다(배운다)는 인식을 우리가 갖고 있었다. 내가 모르는 무엇에 대해 선생/교사가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도식이다. 그러나 신학/신앙은 삶의 문제이기 때문에, 수학 공식처럼 외우고 이해하는 것으로 끝나는 학문이 아니다. 안다는 것, 지식을 소유한다는 것만으로는 택도 없이 부족하다. 하느님이 하나님이라는 것을 안다, 그 자체로는 귀신과 다를 바가 없다(약 2:19) 도적과 다름 없다(렘 23:30). 남미 해방신학의 도전으로 실천하는 신학, 프락시스(Gr. pra/xij, praxis=> practice)를 요구받는다. 믿는 대로 살고 있는가?
신학 다시하기
왜 신학하기를 다시하는가? 기존의 신학하기가 내게 긍정적 모습을 보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내 실존적 물음(아픔)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신학을 한다/신앙생활을 한다는 것은 단순한 사교모임, 취미활동과는 사뭇 다르다. 불안한 미래에 대한 보험, 투자와도 다르다. 오늘을 의미있게, 책임감있게 살고자 함이다. 그래서 내 삶을 all-in 하도록 만드는 삶의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것이 신학하기의 본질이며, 우리가 쓰는 말로 신학 다시하기이다.
이런 이해는 어디서 오는가? 성서/전통의 일관된 가르침이다. 성서는 질문하지 않으면 답하지 않는다. 미드라쉬(םדרש)의 기본 의미는 ‘묻다, 질문하다, 구하다’라는 뜻이다. 영생을 구하는 어떤 율법사에게 예수는 말한다. 성서를 어떻게 읽느냐?(눅 10:25-26). 아무 생각없이 읽으면, 아무 답도 얻지 못한다. 답(성서)이 없음이 문제가 아니라, 질문이 없음이 문제이다. 신학 다시하기의 출발은 나를 들여다 봄에서 비롯된다.
1. 사색에서 행동으로
2. 수동적 배움에서 능동적 삶으로
3. 주입식 교육에서 마춤형 신학하기로
4. 객관식에서 주관식으로
5. 남의 이야기에서 내 이야기로
댓글목록
박원일님의 댓글
박원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One must search out one's own values and assume responsibility for one's own order of action and not simply follow orders handed down from some period past.... And yet, let us think, in conclusion about this: when you have lived your individual life in your own adventurous way and then look back upon its course, you will find that you have lived a model human life, after all." (Joseph Campbell, Thou Art That: Transforming Religious Metaphor [Novato, Calif.: New World Library, 2001], pp. 30-31)